전체 글 175

청각과 시력을 동시에 잃는다면, 우셔 증후군

우셔 증후군(Usher syndrome)은 청각 장애와 망막색소변성(retinitis pigmentosa)을 동시에 동반하는 유전성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출생 시 또는 유아기부터 청력 손실이 나타나고, 이후 점진적인 시야 상실이 이어지며 결국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감각기관의 점진적인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며, 조기 진단과 재활적 접근이 삶의 질을 결정짓습니다. 현재 완치법은 없으나, 청각 및 시각 보조기기, 유전자 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우셔 증후군의 개요와 유형질환의 정의와 기본 특성우셔 증후군은 청각과 시각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감각장애 질환입니다. 주된 두 증상은 감각신경성 난청과 망막색..

카테고리 없음 2025.06.25

열과 통증이 반복되면 주목해야 할 슈틸러병

슈틸러병(Still’s disease)은 전신성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매우 드문 자가염증성 질환입니다. 발열, 분홍색 발진, 관절통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어린이에게는 전신형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systemic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sJIA)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감염과 유사한 증상으로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만성적인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병인에 자가면역이 아닌 자가염증 기전이 중심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진단이 어렵고 확정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 진단과 면역조절 치료는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의심 소견이 보일 때는 신속한 평가가 필요합니다.슈틸러병의 개요와 특징정의와 병리적 특징슈틸러병은 주로 성인에서 발..

카테고리 없음 2025.06.25

손가락이 잘 안 펴지는 우리 아이, 혹시 캠프토닥틸리?

캠프토닥틸리(Camptodactyly)는 선천적으로 손가락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펴지지 않는 희귀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주로 새끼손가락에 발생하지만 다른 손가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한 손 혹은 양손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절과 힘줄의 이상, 근육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없지만, 기능적 제한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물리치료 또는 수술적 접근이 중요하며, 개인별 상태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집니다.캠프토닥틸리란 무엇인가정의와 기본 개념캠프토닥틸리는 손가락의 중간 마디(PIP 관절)가 비정상적으로 굽혀져 있으며, 자발적으로 펴지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출생 시부터 확인되는 경우가 많으..

카테고리 없음 2025.06.25

한 가지 증상으로 설명되지 않는 병, 크로니히 증후군

크로니히 증후군(Krönig Syndrome)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성 질환으로, 다양한 장기에 걸쳐 만성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희귀 질환입니다. 주로 소화기계 증상을 중심으로 하여 근골격계, 피부, 중추신경계 등에 이차적인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특정한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진단이 까다로우며, 초기에는 단순한 소화불량이나 피로감으로 오인되기 쉽습니다. 그 결과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의 시기를 놓치면 장기 손상이나 만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기 인식과 다학제적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입니다.크로니히 증후군의 정의와 병태생리희귀질환으로서의 정체성과 발병 메커니즘크로니히 증후군은 자가면역적 또는 자가염증적 요소가 중심이 되는 만성 전신성 염증 질환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5.06.25

레이노병, 단순한 수족냉증으로 오해받기 쉬운 병

추운 날씨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손끝이 하얗게 변하고 감각이 둔해지는 경험은 흔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고 심해진다면 단순한 냉증이 아닌 ‘레이노병’일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말초 혈관의 과도한 수축 반응으로 인해 손발 끝 혈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며, 심한 경우 조직 괴사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태입니다. 특히 젊은 여성에게 더 흔히 발생하며,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레이노병은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다른 질환의 초기 징후일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인식과 구별이 중요합니다.레이노병의 정의와 분류일차성과 이차성 레이노병의 차이레이노병은 크게 **일차성(Primary Raynaud's phenomenon)**과 **이차성(Secondary Rayn..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지능 저하부터 안면 기형까지, 드러나지 않는 희귀 질환 밀로치 증후군

밀로치 증후군(Miller-Dieker syndrome)은 희귀한 염색체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증 신경발달 장애입니다. 뇌의 겉질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되는 '리스엔세팔리(lissencephaly)'가 특징이며, 이로 인해 심각한 지적장애와 간질, 운동발달 지연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첫 해에 발작이 시작되며, 대부분의 환아는 생존 기간이 짧습니다. 이 질환은 대개 17번 염색체의 미세결실로 인해 발생하며, 산전 진단도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유전적 특성이 복잡하고 예후가 나쁜 질환이기에 조기 진단과 다학제적 치료 접근이 중요합니다.밀로치 증후군의 정의와 발생 원인염색체 결실로 인한 뇌 발달 이상밀로치 증후군은 17번 염색체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미세결실에 의해 유발됩니..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안경으로도 교정되지 않는 시야 흐림, 스타르가르트병

스타르가르트병은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황반변성 질환 중 하나로, 청소년기나 젊은 성인기에 주로 시작되는 희귀 질환입니다. 중심 시력을 점점 상실하게 되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주며, 결국에는 시각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망막 중심의 빛을 감지하는 세포가 점진적으로 파괴되며, 이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됩니다. 대표적으로 ABCA4 유전자의 이상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염색체 열성 유전양식을 따릅니다. 이 질환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시각 보조 도구의 활용을 통해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스타르가르트병의 개요와 유병 특성유전적 황반변성의 특징스타르가르트병은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황반(macula)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퇴행성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사물의 중심이 흐릿하거..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신생아기부터 염증이 뇌를 파괴하는 병, 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

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Aicardi-Goutières Syndrome, AGS)은 신생아 또는 영아기에 발병하는 유전성 자가면역성 뇌염증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DNA 대사 이상으로 인해 체내에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유발되며, 마치 바이러스 감염을 겪는 듯한 염증 반응이 뇌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을 공격하게 됩니다. 주요 증상은 발달 지연, 근긴장 이상, 미세두증, 피부 석회화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AGS는 여러 유전자(TREX1, RNASEH2A/B/C 등)의 돌연변이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염색체 열성 또는 우성으로 유전됩니다. 치료는 증상 완화 중심이며, 조기 진단과 다학제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의 정의와 병태생리AGS란 어떤 질환인가..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가족력으로 나타나는 갑상선암, 가족성 수질암

가족성 갑상선 수질암(Familial Medullary Thyroid Carcinoma, FMTC)은 유전성 내분비 종양의 한 형태로, RET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암입니다. 일반적인 갑상선암과는 달리, 이 암은 갑상선의 C세포에서 기원하며, 칼시토닌이라는 호르몬의 과잉 분비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수의 가족 구성원에게서 유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발성 내분비종양(MEN)과 관련되기도 합니다. 조기 발견 시 완전한 절제가 가능하지만,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선제적인 유전자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적 수술이 권고될 수 있는 대표적 유전 종양 중 하나입니다.가족성 갑상선 수질암의 개념과 특징일반 갑상선암과의 차이점가족성 수질암은 일반적인 유두암이나 여포암과는 전혀 다른 병리..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귀통증, 어지럼증까지? 놓치기 쉬운 두개저 질환 이글 증후군

이글 증후군(Eagle syndrome)은 드물게 발생하는 두개저 구조 이상으로 인해 다양한 신경 및 혈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주로 측두골의 경돌기(styloid process)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거나, 이와 연결된 인대가 석회화되면서 통증과 압박 증상을 유발합니다. 인후통, 삼킴 곤란, 귀통증, 심한 경우 뇌혈류 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검진이나 영상에서 놓치기 쉬우며, 오진률도 높은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해부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합니다.해부학적 이상이 만들어내는 신경 증후군경돌기와 이글 증후군의 구조적 관계이글 증후군은 경돌기가 정상보다 길어지거나, 경돌설골 인대가 석회화되면서 인근의 해부학 구조물을..

카테고리 없음 202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