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5

모노맥증후군(MONOMAC)이란? 면역결핍의 그늘에 가려진 희귀 유전질환의 진실

모노맥증후군(MONOMAC)은 단핵구감소증과 반복적인 감염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매우 희귀한 유전성 면역결핍질환입니다. GATA2 유전자 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단핵구, NK세포, B세포 등의 면역세포가 현저히 감소하면서 비정형 감염과 악성혈액질환으로의 이행 위험이 높아집니다. 대부분 청소년기 이후 또는 성인 초기에 증상이 시작되며, 진단이 늦어질 경우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전적 특성이 강한 질환이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한 선제적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조혈모세포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으로 여겨지는 만큼, 정확한 이해와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모노맥증후군(MONOMAC)의 정체와 임상적 개요단핵구감소증과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의 연관성모노맥..

카테고리 없음 2025.07.03

피부근염 환자의 30%, 폐질환이나 암과 연관 있습니다

피부근염(Dermatomyositis)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피부와 근육에 염증이 동반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그러나 이 질환은 단순히 피부나 근육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전신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전신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희귀질환으로 분류되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일부는 암과의 연관성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피부근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발생 원인부터 치료 및 예후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피부근염이란 무엇인가요?자가면역 질환으로서의 특성피부근염은 신체의 면역 체계가 자신의 근육과 피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염증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근육세포와 피부세포가 손상되며, 근력 저하와 피..

카테고리 없음 2025.07.01

숨 쉴 시간도 없이 진행되는 선천성 심장 기형, 대동맥궁 단절증

대동맥궁 단절증(Interrupted Aortic Arch, IAA)은 신생아기에 진단되는 매우 희귀하고 치명적인 선천성 심혈관 기형입니다. 이 질환은 대동맥궁의 연속성이 완전히 단절되어 있어, 심장에서 전신으로의 혈류 공급이 불가능해지는 구조적 문제를 의미합니다. 대개 생후 수일 이내에 심한 청색증, 무기력, 말초 순환 부전 등의 증상을 보이며,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후는 매우 나쁩니다. 특히 DiGeorge 증후군과의 높은 연관성 때문에 유전학적 검사가 필수적으로 수행됩니다. 본 글에서는 대동맥궁 단절증의 구조적 특성,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후까지 임상유전학자의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대동맥궁 단절증의 구조와 분류대동맥궁의 정상 구조와 기능대동맥은 심장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5.07.01

에너지 대사에 생긴 문제, 크레브스병 이야기

세포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에너지 생산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효소들이 결함을 일으킬 경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대사 흐름 자체가 멈출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크레브스병(Krabbe disease)은 리소좀 기능 이상으로 인해 중추신경계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받는 희귀 유전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발병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신경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경우 진단이 지연되기도 합니다. 본 글에서는 크레브스병의 원인, 유전양상,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전문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크레브스병이란 무엇인가?유전적 배경크레브스병은 GALC(galactocerebrosidase)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발병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6.30

움직이려 해도 풀리지 않는 근육, 혹시 선천성 근긴장이상?

선천성 근긴장이상은 출생 직후부터 나타나는 드문 신경근육계 질환으로, 근육의 이완이 지연되어 일상적인 움직임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특별히 근육세포의 이온통로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관여하고 있으며, 증상의 정도는 사람마다 매우 다릅니다. 치료는 주로 증상 조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전문의의 지속적인 관찰과 맞춤형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선천성 근긴장이상의 개요와 특징희귀질환으로서의 선천성 근긴장이상선천성 근긴장이상은 10만 명 중 한 명 이하의 유병률을 보이는 희귀 유전질환으로 분류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6.30

빠르게 다가오는 숨 가쁨, 폐동맥 고혈압

폐동맥 고혈압은 폐로 혈액을 보내는 동맥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희귀 심혈관 질환입니다.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 호흡곤란과 피로감으로 시작되지만, 진단이 늦어지면 우심실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BMPR2 등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며, 결체조직질환이나 선천성 심질환, 특정 약물이 유발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진단은 심초음파와 우심도자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에는 병용 약물치료와 재활, 일부에서는 폐이식까지 고려됩니다. 조기 개입과 정기 모니터링이 생존율 향상의 핵심입니다.원인과 유전 요인BMPR2 유전자 돌연변이BMPR2 유전자의 이상은 폐혈관 내피세포의 증식과 혈관 재형성을 촉진합니다.이 돌연변이는 유전성 PAH 환자의 상당 비율에서 확인되며, 가족 간 유전 가능성도 있습니다.고위험군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6.29

근육과 심장을 침묵하게 만드는 피클병

피클병(Pompe병)은 리소좀 효소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GAA)의 결핍으로 글리코겐이 근육과 심장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유전성 저장질환입니다. 발병 연령에 따라 영아형부터 성인형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과 예후가 크게 달라집니다. 영유아형에서는 심비대와 심부전을 유발하고, 성인형에서는 점진적인 근력 저하가 특징입니다. GAA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성을 보입니다. 능동적인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치료가 환자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GAA 유전자와 효소 결핍 기전GAA 유전자의 역할알파-글루코시다아제(GAA)는 리소좀 내에서 글리코겐을 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근육세포 내 대사 균형에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효소가 부족할 경우 글리코겐이 분해되..

카테고리 없음 2025.06.29

근육이 점점 약해지는 병, 근대사위축증

근대사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은 운동 신경세포의 점진적인 퇴화를 초래하여 근육 약화 및 위축을 유발하는 유전성 신경근 질환입니다. 주로 척수의 앞뿔세포(anterior horn cell)에 영향을 미쳐 전신 근육의 조절 기능을 손상시킵니다. SMA는 다양한 아형으로 나뉘며, 증상의 시작 시기와 중증도에 따라 크게 구분됩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예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신생아 선별검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전자 치료의 진보로 치료 가능성의 문이 열리고 있습니다.SMA의 유전적 배경과 종류SMN 유전자의 역할근대사위축증은 SMN1(Survival Motor Neuron 1) 유전자의 결실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SMN 단백질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6.29

조기 발견이 생존을 결정짓는 소화관 이행세포암

소화관 이행세포암은 소화관, 특히 위장관이나 방광 인접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매우 희귀한 형태의 암으로, 일반적인 선암과는 달리 이행상피세포의 특징을 보입니다. 이 암은 조직학적으로 비뇨기계 이행세포암과 유사하여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종종 조직검사를 통해서만 확진됩니다. 주로 위, 대장, 항문 등 소화기관의 말단 부위에서 발생하며, 빠르게 전이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집니다. 치료는 수술과 항암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후는 조기 진단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유병률이 극히 낮아 일반적인 임상경험만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만큼, 전문적인 유전자 기반 진단과 병리적 이해가 필요합니다.소화관 이행세포암의 개요이행세포란 무엇인가이행세포는 주로 요로계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상피세포로, 늘어나고 줄어드..

카테고리 없음 2025.06.28

젊은 남성에게 나타나는 리듬의 변화, 브루가다 증후군

브루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은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심장의 전기 전도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심장질환입니다. 특히 특정 유전자(SCN5A 등)의 돌연변이로 인해 심실 상상간블록 및 위험한 심실빈맥/심실세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밤에 나타나는 가슴 통증, 실신, 갑작스러운 심장마비가 초기 증상으로, 종종 정상 심전도 소견에도 증후가 숨겨져 있어 진단이 어렵습니다. 20~40대 젊은 남성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가족력 확인이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적시에 좌심실 삽입형 제세동기(ICD) 장착이 이루어지면 급사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브루가다 증후군의 정의 및 유전적 배경심전도 패턴의 특징브루가다 증후군은 V1~V3 심전도 리드에서 “브루가다 패턴”이라고 불리는 특징..

카테고리 없음 2025.06.28